티스토리 뷰

이번 포스팅은 2017년 국민연금요율과 올해는 내월급에서 국민연금으로 얼마가 빠져나갈지 국민연금 모의계산기를 통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연금은 중요한 복지수단중 하나인데요 젊었을때 월급에서 국민연금요율에따라 일정부분을 공제하여 노후에 말그대로 연금을 받는 제도인데요. 이게 요즘 참 문제가 많습니다. 해가 갈수록 국민연금으로 내는 돈은 늘어나는데 노후에 받을수 있는돈은 작아지고 이대로라면 앞으로 2060년에 그러니까 지금 막 사회에나온 사회초년생들이 44년 후 국민연금 기금액이 모두 소진될거라는 시뮬레이션 결과가 있으니 안넣고 싶다고 해도 안넣을수 있는것도 아니죠.




지금 상황에서는 이처럼 문제가 있다고 진단을 내렸어도 앞으로 정부에서 국민연금 기금으로 투자를 잘해서 수익률이 높게나와 꾸준히 성장하고 현직 직장인들도 기분좋게 꼬박꼬박(어차피 월급에서 뺏지만...) 잘 내면 좋은일이 있을거라는 희망을 가져야겠죠ㅎㅎ 잠깐 이야기가 다른곳으로 빠졌는데요 2017년 국민연금요율을 알아보고 알아본 내용을 토대로 자동으로 내월급에서 국민연금은 얼마나 빠져나갈지도 국민연금 모의계산기로 계산해보겠습니다.



2017년 국민연금요율 확인하는방법

국민연금요율은 아래 사진과 같이 2009년 2월 25일 법개정을통해 해당연도 7월부터 다음연도 6월까지 요율이 적용됩니다. 2007년에는 4월부터 다음연도 3월이었고 2008년에는 근로자와 사용자가 이원화되어 근로자는 4월부터 다음연도 3월, 사용자는 7월부터 다음연도 6월까지였네요.. 뭐하러 이렇게 매년 바꿨는지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2009년부터 안바뀌었으니 올해도 작년인 2015년에 적용된 국민연금요율을 올해 6월까지 적용되겠습니다.








그렇다면 작년 국민연금요율은 얼마였냐? 아래 사진과 같이 9%였으며 국민연금은 사용자(회사)와 근로자가 반반씩 내기 때문에 근로자라면 내 월급에서 4.5%를 내는거죠. 여기서 중요한점은 상당한 고소득자일경우 국민연금을 많이 낼 것이고 저소득자는 그만큼 적게 낼것인데 그렇지 않습니다. 국민연금은 상한액과 하한액을 정해놓고 있기때문입니다.

자세한 표가 나와 있으나 일일이 계산할필요없이 4대보험 모의계산기를 통해 간단하게 알아볼수있기때문에 복잡한 표는 생략하겠습니다.







다음으로 아래표는 나의 국민연금납부액을 계산하기 위해서 내 소득이 어디까지 잡히느냐의 표입니다. 일반적인 근로자를 기준으로 간략하게 설명드리면 직장을 다니면서 기본급 외에 각종수당을 포함하여 급여를 받는데요 여기에서 예를들어 식대라든지 상여금, 야간수당 등 국민연금소득계산에 포함되는 수당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아래 보시면 상여금이나 보너스같은 포상금은 전액 소득으로 인정받으며 일용직근로자의 경우 잔업, 야간, 유일근로시 받는 추가수당은 전액 비과세로 소득인정을 안합니다. 또 소득인정을 할수도 안할수도있는게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식대같은겁니다. 식대는 직장내 모든 직원이 식대를 지급받으면 소득으로 인정된다는 내용이네요. 이런식으로 아래 표를보고 자신의 해당사항이 있으면 꼼꼼하게 계산해보시기 바랍니다.









국민연금 모의계산기 사용방법

다음은 국민연금 모의계산기를 사용하여 그래서 내가 낼 국민연금은 얼마냐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포털검색창에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라고 입력하신후 검색하시고 아래 표시해둔 사이트로 접속합니다.





그러면 아래와같이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홈페이지가 보이실거에요. 마찬가지로 홈페이지 상단 대분류에 "알림마당"이라고 표시해둔곳에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이렇게 아래와같이 소메뉴들이 나타날텐데요 마찬가지로 화살표로 표시해둔 "4대사회보험 모의계산"을 클릭합니다.







클릭 하자마자 아래와같은 새창이 떳나요? 그렇다면 이제 내 월급을 통해 한달에 국민연금을 얼마나 납부하는지 알아볼수있는데요 저의 월급이 220만원이라는 가정하에 계산해보겠습니다. 아래 빨간색 네모박스에 자신의 월급을 입력하시고 계산을 누르면 현재인 2017년 국민연금요율을 자동적용하여 매월 납부금액을 계산해줍니다.




앞서 말씀드린대로 월급 220만원으로 계산해보니 매월 국민연금 납부금액은 총 198,000원이라는걸 알 수 있습니다. 2017년 국민연금요율은 9%이기 때문에 220만원*0.09해도 역시 같은값이 나오네요. 이렇게 나온 금액을 사업주와 근로자가 반반 4.5%씩 부담하니 내 월급에서 빠져나가는 국민연금납부액은 99,000원입니다. 간단하죠?






복잡하셨나요? 쉽게 설명드리려다보니 글만 조금 길어졌지 쉽지 않으셨나요? 이 글을 보시고 차근차근 따라하시다보면 정말 간단하게 계산하실수 있으실거에요 모두 돈 많이 벌어서 국민연금도 많이 내시고 나중에 돌려받으실때 안정적인 생활이 가능하도록 많이 받으셨으면 좋겠네요^^


댓글